거문고자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거문고자리는 여름부터 가을에 걸걸 쳐 초저녁에 은하수 서서쪽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오르르페우스의 거문고를 나타내며, 여러 문화와 역사에서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거문고자리의 위치, 항성, 삼각형 형태, 그리고 그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실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거문고자리의 위치
- 거문고자리의 항성
- 거문고자리의 삼각형 형태
- 거문고자리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실들
거문고자리의 위치
거문고자리는 북반구 하늘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북북쪽 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며, 전체로는 다섯 번째로 밝은 항성입니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이 별을 중심으로 한 작은 영역이 우수 (牛宿, 牽牛)에 속한 직녀 ((織女) 별자리가 됩니다. 거문고자리는 남남 쪽으로 벌벌페큘라, 서서쪽으로 헤라클레스, 북북쪽으로 드라라코, 동동쪽으로 백조자리와 접해있습니다. 286.55평방 도로 88개 현대 별자리 중 52번째 위치합니다.
거문고자리의 항성
거문고자리에는 총 6개의 항성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밝은 항성은 베가 (Bega)라는 이름을 가진 주계열성입니다. 베가는 불과 7.7파 섹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태양 이외의 최최초의 단일 주계열성입니다. 베가는 카이이퍼 벨트를 닮은 파파 편 원반에 둘러싸여 있으며, 유명한 여름 삼각형의 일각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베가 외에도 엡실론 (Rigel), 제타 (Jupiter), 시리우스 (Sirius), 알파 센타우루스 (Aldebaran), 카노노푸스 (Canopus) 등이 있습니다.
거문고자리의 삼각형 형태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눈에 띄는 형태는 삼각형입니다. 이 삼각형은 알파 센타우루스와 시리우스를 중심으로 하며, 엡실론과 제타를 장식합니다. 알파 센타우루스와 시리우스는 각각 약 1.6백만 평방도까지 보이며, 엡실론과 제타는 각각 약 0.8백만 평방도까지 보입니다. 이 삼각형은 북반구 여름에만 볼 수 있는 특별한 혜혜택을 줍니다.
거문고자리와 관련된 흥미로운 사실들
- 거문고자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오르페우스의 거문고를 상징합니다. 오르페우스는 아폴론의 아들로, 거문고를 연주하는 능력이 뛰어났습니다. 그는 아이도니아의 왕 디오니소스의 딸인 에우리디케와 결혼했으나, 결혼식 당일에 뱀에게 물려 죽어버립니다. 오르페우스는 그녀를 되찾기 위해 저승의 문을 열고, 하데스와 페르세포네에게 간청합니다. 그들은 오르페우스의 거문고 연주에 감동하여, 에우리디케를 살려주기로 하지만, 조건으로 저승에서 나올 때까지 그녀를 돌아보지 말라고 합니다.
오르페우스는 저승의 문 바로 앞에서 참을 수 없어 그녀를 돌아보고 말아버리고, 에우리디케는 다시 저승으로 끌려가버립니다. 오르페우스는 슬픔에 잠겨 살다가, 디오니소스의 추종자들에게 살해당하고, 그의 거문고는 하늘에 올려져 거문고자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 거문고자리는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우수 (牛宿, 牽牛)에 속한 직녀 ((織女) 별자리가 됩니다. 이 별자리는 중국의 전래동화인 칠석 전 (七夕傳)과 관련이 있습니다. 칠석 전은 천상의 직녀와 인간의 목동이 사랑에 빠지고, 천황의 진노를 사서, 매년 7월 7일에만 만날 수 있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직녀는 베가, 목동은 알타이르 (백조자리의 가장 밝은 별)로 상징되며, 그들을 가로막는 은하수는 밀리웨이 (Milky Way)로 표현됩니다. 매년 7월 7일에는 하늘에 있는 새들이 은하수 위에 다리를 만들어주어, 직녀와 목동이 만날 수 있게 해 준다고 합니다.
- 거문고자리는 14,000년 전에는 북극성이었습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26,000년 주기로 움직이는데, 이를 세차운동 (precession)이라고 합니다. 세차운동으로 인해, 지구의 북극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게 됩니다. 현재의 북극성은 북극성자리의 폴라리스 (Polaris)이지만, 14,000년 전에는 거문고자리의 베가가 북극성이었습니다. 앞으로 12,000년 후에는 다시 베가가 북극성이 될 것입니다.
이상으로 거문고자리에 대해 소개하고자 했습니다. 거문고자리는 작지만 밝고 아름다운 별자리로, 여러 문화와 신화에서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초저녁에 은하수 서서쪽에서 볼 수 있는 거문고자리를 찾아보시고, 그 안에 담긴 이야기들을 즐겨보세요. 감사합니다.
'우주 와 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형자리 - 가을철 별자리 속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별들 (2) | 2023.12.22 |
---|---|
남쪽삼각형자리 - 남반구 초겨울 밤하늘의 비밀 (1) | 2023.12.20 |
큰곰자리(Ursa Major)의 특성, 역사, 신화, 관측 방법 (1) | 2023.12.16 |
작은곰자리(Ursa Minor) - 하늘의 북극성이 있는 별자리 (0) | 2023.12.16 |
돛자리, 고대의 전설적인 배 아르고호의 일부를 담은 별 (0) | 2023.12.15 |